기존에 git으로 배포할 때 .gitignore의 존재를 모르고 무조건 commit을 진행했는데 그렇게 되면 파이썬 가상환경 설정 파일 등 수정이 필요하지 않은 파일들 까지 커밋이 되어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이번에 새로 알게 된 .gitignore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gitignore 파일 뿐만 아니라 리파짓토리를 로컬과 연결시키는 과정까지 합쳐서 정리해볼 예정이다.
1. 리파짓토리 생성
먼저 github에서 리파짓토리를 생성 후 로컬에 본인이 원하는 경로에 프로젝트 폴더를 하나 생성한다.
나는 airflow라는 파일을 생성했다.
2. git 저장소 생성
git init을 통해 airflow 폴더를 깃 저장소로 만들어준다.
git init
git status 명렬어를 통해 봐주면
재대로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저기 있는 venv라는 폴더가 바로 개발 환경설정 폴더 이므로 우리가 .gitignore에 포함시킬 폴더 이다.
3. .gitignore 파일 생성
sudo touch .gitignore
touch는 빈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로 현재 디렉토리에 .gitignore 파일을 생성해준다.
이게 해당 파일을 열어서 'venv'를 입력해주기만 하면 되는데 파일을 수정하려고 하는 순간 권한이 없다며 수정할 수가 없을 것이다.
이럴때는 권한을 수정해주어야 하는데 아래 그림대로 따라가 보자
1. 먼저 우클릭으로 정보 가져오기를 눌러준다.
2. 공유 및 사용권한의 죄측 아래에 있는 +를 눌러준다.
3. 사용자를 읽기와 쓰기 권한으로 설정해주고 추가한다.
이렇게 하면 파일을 수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파일에 커밋을 원하지 않는 파일이나 폴더를 넣어주면 된다.
이렇게 해두고 다시 git status를 통해 git 저장소의 상태를 보게 되면 venv파일은 사라지고 .gitignore파일이 생긴 것을 알 수 있다.
4. commit 후 깃허브와 로컬 브렌치 연결
위 처럼 원하는 코멘트를 남긴 후 깃허브 리파짓토리에 remote와 push를 통한 배포까지 한꺼번에 해준다.
그렇게 하고 내 git에 가보면!!! 정상적으로 gitignore이 올라가 있고 venv은 올라가지 않은 모습을 알 수 있다.!